dpkg 명령어

기본 설명

dpkg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로서,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dpkg 자체는 APT 등과 같은 고급 도구에 비해 낮은 레벨의 도구이며 복잡한 패키지 관계와 패키지를 원격에서 받아오는 등의 일을 합니다. APT도 Ubuntu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이 dpkg를 사용합니다.

 

사용 방법

dpkg -l

: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레드햇 계열 : rpm -qa 와 동일)

 

dpkg -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로부터 설치된 모든 파일목록 확인 (레드햇 계열 : rpm -ql 과 동일)

 

dpkg -C <.deb 파일>

: 해당 .deb 파일이 설치한 파일의 목록 확인

 

dpkg -s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에 대한 정보 확인

 

dpkg -I <.deb 파일>

: 해당 .deb 파일에 대한 정보 확인

 

dpkg -S <파일명>

: 해당 파일명 또는 경로가 포함된 패키지들을 검색 (레드햇 계열 : rpm -qf 와 동일)

 

sudo dpkg -i <.deb 파일>

: 해당 파일 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sudo dpkg -r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삭제 (삭제시 설정파일들은 남겨둡니다.)

 

sudo dpkg -P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와 해당 패키지의 설정파일을 모두 삭제 (레드햇 계열 : rpm -e 와 동일)

 

sudo dpkg -x <.deb 파일> <디렉토리>

: 파일에 포함되어있는 파일들을 지정된 디렉토리에 압축 해제 (※ 이 명령을 실행할 경우, 해당 디렉토리를 초기화 시켜버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사이트

http://www.songtory.com/post/001003/1/245

 

http://snowdeer.github.io/linux/2018/02/03/ubuntu-16p04-manage-packages/

 

출처 : https://miiingo.tistory.com/183

'Work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 apt remove vs purge 차이  (0) 2022.08.29

 

운영체제 : Ubuntu 18.04

DESCRIPTION

apt-get is the command-line tool for handling packages, and may be considered the user's "back-end" to other tools using the APT library. Several "front-end" interfaces exist, such as aptitude(8)synaptic(8) and wajig(1).

 

Unless the -h, or --help option is given, one of the commands below must be present.

remove

remove is identical to install except that packages are removed instead of installed. Note that removing a package leaves its configuration files on the system. If a plus sign is appended to the package name (with no intervening space), the identified package will be installed instead of removed.

purge

purge is identical to remove except that packages are removed and purged (any configuration files are deleted too).

 

OPTIONS

--purge

Use purge instead of remove for anything that would be removed. An asterisk ("*") will be displayed next to packages which are scheduled to be purged. remove --purge is equivalent to the purge command. Configuration Item: APT::Get::Purge.
 
--auto-remove--autoremove
If the command is either install or remove, then this option acts like running the autoremove command, removing unused dependency packages. Configuration Item: APT::Get::AutomaticRemove.
 

apt 패키지 매니저에서 패키지 삭제 명령어 정리

 

패키지 삭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새롭게 설치하는 패키지에 문제가 생겨 명령어와 옵션에 대해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pt remove <패키지명>

패키지를 삭제한다. 하지만 설정파일은 남겨둔다.

$ apt purge <패키지명>

패키지를 삭제한다. 설정파일도 함께 삭제한다.

 

옵션

$ apt [any command] --purge <패키지명>

remove 대신 --purge 명령을 수행한다. remove --purge 는 purge 명령어와 같다,

$ apt remove --auto-remove <패키지명>

사용하지않는 관련된 패키지를 모두 삭제한다.


위는 공식 명령어 가이드와 간략한 해석입니다.

차이는 설정파일을 삭제하느냐 남겨 두느냐의 차이입니다.

 

하지만 purge명령어를 쓰더라도 모든 설정파일을 삭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user'home 파일은 삭제하지 않습니다.

 

예를들면, /home 폴더 하위에 설정파일을 가지고 있는 어느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크롬 , 파이어폭스 등등..)을 삭제할 때는 /home 디렉터리 내부의 설정파일들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처음에 remove와 remove --auto-remove <패키지명>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삭제했는데, 새롭게 설치하는 패키지가 삭제한 패키지와 중첩이 되어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VMware-Tools를 설치하는데 vm-open-tools가 기본적으로 Ubuntu18.04에 설치되어 있어서 먼저 vm-open-tools를 삭제하고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remove, --auto-remove 를 사용해 패키지를 지우고

VMware-Tools를 설치하려고하니 이미 open-vm-tools가 설치되어 있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 --purge 옵션을 이용해서 삭제하라는 가이드가 있었습니다.

 

# apt purge open-vm-tools를 이용해 삭제하고 VMware-Tools를 삭제하니 정상적으로 설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출처: https://gintrie.tistory.com/23 [gintire:티스토리]

'Work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dpkg 명령어 사용법  (0) 2022.08.29

 

[신한카드] RPM Platinum# 카드 신형 쓸만 한가요? (구형과 비교 분석)

필자는 구형 RPM Platinum# 카드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카드 체리피커들이 소장하고 애용하는 카드입니다.)
** 카드 체리피커 (card cheery picker) ; 체리픽커란 맛난 체리만 따먹는 약삭빠른 사람을 말합니다.

이런 좋은 카드가 단종되고, 버전 업된 신형 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 신형카드를 분석하면, 왜 구형카드가 폐지 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카드사에서 고객의 생각해서 더 좋은 혜택을 주려고, 신형카드를 개발한건 절대! 절대! 아니겠죠? ^^

1. 연회비 분석
   구형 ; URS 2만 7천원, VISA 3만원, AMEX 3만원
   신형 ; UPI 3만 2천원, VISA 3만 5천원

   ==> 신형이 5천원 인상되었습니다.

 

 

2. 주유 할인
   구형 ; (무실적) 모든 주유소 리터당 100원 적립 / 모든 LPG 충전소 리터당 30원 적립
   신형 ; (실적차등)모든 주유소에서 리터당 40~150포인트 적립 / 충전소 리터당 10~50포인트 적립

   ==> 무실적 vs. 실적차등
   ==> 신형카드로 100만원 이상 실적일때, 구형카드와 동일 / 신형으로 200만원 이상실적일때, 150 P 적립
   ==> 월 주유 한도 30만원은 동일 (구형은 회수로 4회 제한 있습니다. 신형은 횟수 제한이 없다 보니, 경차/중소형차 소유자는 좀더 유리하겠습니다.  (구형카드는 매회 7만원 이상 주유해야 4x7 = 28만원으로 30만원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항상 가득주유 해야만 했습니다. 적당히 주유해야 차도 가볍고 연비도 좋아지는데 말입니다. 가득주유는 필자의 불만이었는데 신한카드에서 신형 RPM에는 방식을 변경해 줘서 고맙네요.)

 

3. 적립상세
   구형 ; 실적 150만원 이상이면, 모든 혜택을 다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신형 ; 실적 200만원 이상되야, 모든 혜택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 150만원 최고실적 vs. 200만원 최고 실적
   ==> 신형카드로는 월50만원을 추가로 사용해야 최고 등급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겠네요.

 

4. 기타
   ==> RPM 카드의 또다른 꿀핵은 몇몇 주차장의 무료이용입니다. 이부분은 신형/구형 동일한 혜택이 제공됩니다.
   ==> 그밖에 구형/신형 다른점이 소소하게 있으나, 위에 언급한 부분이 필자에겐 카드선택의 중요 포인트이므로 소소한 차이는 이글에서 생략했습니다.

 

결론들어 갑니다.
1. 구형의 장점 ; 신형보다 저렴한 연회비, 무실적 주유혜택 (100원 할인)
2. 신형의 장점 ; 주유시 회수제한 없이 30만원 까지 혜택

3. 그래서 신형을 쓸 예정입니까?
   ==> NO ! 
4. 신형의 불편한 점은 무엇인가요?
   ==> 까다로운 실적 조건 입니다. 단일카드(원카드)로 사용할 경우는 머리를 잘 굴려 써볼 만 하지만, 신한포인트 제한이 5만점이라 주유혜택 모두 받고, 월 200만원 이상 사용한다면, 혜택을 못 받는 금액이 생길듯 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기존 hi point 계열 신한카드의 실적 최고 금액은 150만원 이였고, 이때, 5만점을 적립하려면, 200~250만원을 사용 해야 했습니다. 이때, RPM 카드는 큰 주유적립 혜택을 주기 때문에 150만원 정도 사용하면, 5만점을 모두 채우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2013.tistory.com/73

기호 영어 한글
` Backtick(백틱), Grave(그레이브) -
~ Tilde(틸트) 물결표시
! Exclamation mark(엑스클러메이션) 느낌표
? Question mark(퀘스쳔) 물음표
@ At sign(앳) 골뱅이
# Sharp(샵), Number sign(넘버) 우물정
$ Dollar sign(달러) -
% Percent sign(퍼센트) -
^ Caret(캐럿) -
& Ampersand(엠퍼센드) -
* Asterisk(에스터리스크) 별표
- Hyphen(하이픈), Dash(대시), Minus(마이너스) -
_ Underscore(언더스코어), Low dash(로대시) 밑줄
= Equals sign(이퀄) 동등
' Apostrophe(아포스트로피) 작은 따옴표
: Colon(콜론) -
; Semicolon(세미콜론) -
, Comma(콤마) 쉼표
. Period(피리어드), Dot(닷) 점, 마침표
/ Slash(슬래시) -
| Vertical bar(버티컬바) -
\ BackSlash(백슬래시) -
() Parenthesis(퍼렌서시스) 소괄호, 괄호
{} Brace(브레이스) 중괄호
[] Bracket(브래킷) 대괄호
<> Angel Bracket(앵글 브래킷) 꺽쇠괄호

출처 : https://velog.io/@eassi/%ED%8A%B9%EC%88%98-%EB%AC%B8%EC%9E%90-%EC%9A%A9%EC%96%B4-%EC%A0%95%EB%A6%AC

sudo dscacheutil -flushcache;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