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터레이 기반 DNS캐쉬 초기화 명령어 (0) | 2022.07.14 |
---|---|
맥북에서 HTTPS 차단 우회하기. (설치버전 아님) (0) | 2022.05.17 |
Mac 터미널 팁 (0) | 2022.04.27 |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2.04.22 |
맥에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디렉토리 바로 삭제 (0) | 2022.04.19 |
몬터레이 기반 DNS캐쉬 초기화 명령어 (0) | 2022.07.14 |
---|---|
맥북에서 HTTPS 차단 우회하기. (설치버전 아님) (0) | 2022.05.17 |
Mac 터미널 팁 (0) | 2022.04.27 |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2.04.22 |
맥에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디렉토리 바로 삭제 (0) | 2022.04.19 |
MacOS 버전 확인 명령 : sw_vers
CPU 코어 갯수 확인 명령 : sysctl hw.physicalcpu hw.logicalcpu
맥북에서 HTTPS 차단 우회하기. (설치버전 아님) (0) | 2022.05.17 |
---|---|
[Windows] 한글 자소 교정기 ver.2 (0) | 2022.05.16 |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2.04.22 |
맥에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디렉토리 바로 삭제 (0) | 2022.04.19 |
맥북 에어 트랙패드 비활성화 방법 (0) | 2022.03.15 |
바탕화면 보기 : Command + F3 (Control 키로 키매핑 시에는 Control + F3)
한/영전환 : CapsLock 키가 불편하므로 Command + Spacebar (Command 키는 좌우 구분 없음)
휴지통으로 삭제 : cmd + Delete (BackSpace)
즉시 삭제 : option + cmd + Delete (BackSpace)
파일이름 변경 : 파일 선택 후 Enter키
숨김파일보기(Finder에서) : Command + Shift + . (토글키라 숨김파일이 표시상태에서 Command + Shift + . 입력시 다시 숨김처리)
파일이동 : 원본파일 복사 (Command + C) 후 원하는 위치에서 Command+Option+V 명령으로 붙여넣으면서 원본 삭제
현재창 최소화 : Command + m (Control 키로 키매핑 시에는 Control + m)
부분창캡처 : Command + Shift + 4 (Control 키로 키매핑 시에는 Control + Shift + 4)
특수문자 입력 : Command + Control + Space
한자입력 : option(alt) + enter
변경하고 싶은 한자 음을 한글로 작성 후 단축키 누르기 (한 글자씩 변경)
변경하고 싶은 단어 음을 한글로 작성 후 드래그로 단어 선택 후 단축키 누르기 (단어 한번에 변경)
Finder새창열기 단축키 : Option + Command + Space (Control 키로 키매핑 시에는 Control + Option + Space)
Home, End, Page Up, Page Down 키 :
∙ Page Up = fn + ↑
∙ Page Down = fn + ↓
∙ Home = fn + ←
∙ End = fn + →
맥북에서 HTTPS 차단 우회하기. (설치버전 아님) (0) | 2022.05.17 |
---|---|
[Windows] 한글 자소 교정기 ver.2 (0) | 2022.05.16 |
Mac 터미널 팁 (0) | 2022.04.27 |
맥에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디렉토리 바로 삭제 (0) | 2022.04.19 |
맥북 에어 트랙패드 비활성화 방법 (0) | 2022.03.15 |
맥북에서 HTTPS 차단 우회하기. (설치버전 아님) (0) | 2022.05.17 |
---|---|
[Windows] 한글 자소 교정기 ver.2 (0) | 2022.05.16 |
Mac 터미널 팁 (0) | 2022.04.27 |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2.04.22 |
맥북 에어 트랙패드 비활성화 방법 (0) | 2022.03.15 |
IMAP 설치
[root@www /tmp]# mv imap-2000b /usr/local/imap
[root@www /tmp]# cd /usr/local/imap
[root@www /imap]# make slx imap을 컴파일 한다
변경사항 :
원문 글에서는 imap-2000b 버전이지만 나의 경우 imap-2007f 버전을 사용하였음.
변경사항 : 컴파일 옵션을 make slx SSLTYPE=unix 로 해야 php에서 imap 연동 테스트 시
PHP Notice: Unknown: Server disables LOGIN, no recognized SASL authenticator (errflg=2) in Unknown on line 0
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
컴파일이 완료되면 imapd 디렉토리에 imapd가 ipopd디렉토리에는 ipop2d, ipop3d가 생성되며,
ipop2d는 잘 쓰지 않으므로 복사하지 않아도 됩니다.
=================================================================================
% 오류 발생시
낮은 Imap 버전을 최신버전의 리눅스 OS 에 설치시 Openssl 경로가 맞지 않아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osdep.c:231:20: error: x509v3.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2:17: error: ssl.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4:17: error: pem.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5:20: error: buffer.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6:17: error: bio.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7:20: error: crypto.h: No such file or directory
osdep.c:238:18: error: rand.h: No such file or directory
.
.
.
등등..
그럴경우 오류나는 부분의 윗줄을 잘 살펴보면 이와 같이 소스파일에 설정된 SSL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cho -I/usr/local/ssl/include -I/usr/local/ssl/include/openssl -DSSL_CERT_DIRECTORY=\"/usr/local/ssl/certs\" -DSSL_KEY_DIRECTORY=\"/usr/local/ssl/certs\" >> OSCFLAGS
간단하게 해당 경로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해주면,,
ln -s /usr/include/openssl/ /usr/local/ssl/include/openssl
이후 설치하면 오류 없이 설치 가능합니다.
==================================================================================
[root@www imap]# cp imapd/imapd /usr/sbin 생성된 실행파일들을 복사합니다.
[root@www imap]# cp ipopd/ipop3d /usr/sbin
이들은 xinetd 슈퍼데몬에 의해서 실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쪽에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환경설정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 배포판 레드햇6.2이하에서는 inetd 슈퍼데몬에 의해 실행되므로 환경설정이 조금 다릅니다.
[root@www imap]# cd /etc/xinetd.d
[root@www xinetd.d]# vi imapd imapd 실행을 위한 환경설정파일을 생성합니다.
service imap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mapd
log_on_success += DURATION USERID
log_on_failure += USERID
}
[root@www xinetd.d]# vi ipop3d
service pop3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pop3d
log_on_success += USERID
log_on_failure += USERID
}
[root@www xinetd.d]# vim /etc/services
......
pop3 110/tcp pop-3 # POP version 3
pop3 110/udp pop-3
......
imap2 143/tcp imap # Interim Mail Access Proto v2
imap2 143/udp imap
......
[root@www xinetd.d]# /etc/rc.d/init.d/xinetd restart 슈퍼데몬을 재가동합니다.
Stopping xinetd: [ OK ]
Starting xinetd: [ OK ]
telnet을 이용하여 로컬호스트 110포트(pop3)로 접속하여 테스트합니다.
[root@www xinetd.d]# telnet localhost 110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localdomain.
Escape character is '^]'.
+OK POP3 localhost.localdomain v2000.70 server ready
user pyd0927
+OK User name accepted, password please
pass 123123
+OK Mailbox open, 0 messages
quit
+OK Sayonara
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IMAP은 기본적으로 143 포트를 사용합니다.
CentOS7 Node.js 설치 (0) | 2022.06.22 |
---|---|
국내 주요 미러(Mirror) 사이트 목록 (0) | 2022.06.22 |
리눅스에서 df 용량과 du 용량이 다를 경우 (0) | 2021.12.31 |
Centos7 브릿지 방화벽(iptables forward) 작동안할시 (0) | 2021.12.15 |
gcc) pkg-config 사용법 / 인식이 안되는 경우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