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인터넷 광고를 볼 때 아래와 같이 100Mbps라는 문구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


위와 같이 광고 했을 때 흔히 다운로드 속도가 100MB/s가 나올거 같은데

실제로는 최대 12.5MB/s가 최고 속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Mbps라고 표기하고 광고하는 건 

10이라는 숫자 보다는 100이라는 숫자가 더 크게, 더 빠르게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Mbps는 [Mega bit per second]의 약자로써,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B[Mega Byte]로 변환하려면

Mbps * 0.125 = MB/s와 같이 됩니다.

Mbps에 0.125를 곱해주는 이유는 1bit * 8 = 1Byte, 즉 1Byte는 8bit이기 때문입니다.(약자 bit와 Byte)

고로 Mbps * 0.125 = MB/s 대신 Mbps / 8 = MB/s도 되는 거구요.


상기와 같기 때문에 100Mbps는 100 * 0.125 = 12.5MB/s가 나오는 겁니다.

하지만 다운로드 받을때 아무리 해도 12.5MB/s가 나올 수가 없는게,

다운로드 받을때는 데이터만 받는게 아니라 헤더 등의 정보도 받기 때문에 보통 11MB/s정도의 속도가 나옵니다.


요즘 나오는 wi-fi 속도인 150Mbps와 300Mbps는 MB/s로 변환할 경우의 속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150Mbps == 18.75MB/s

300Mbps == 37.5MB/s


하지만 무선 인터넷 속도가 300Mbps라고 해서 상기와 같이 37.5MB/s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37.5MB/s는 커녕 100Mbps와 같은 12.5MB/s와 비슷한 속도가 나옵니다.

이는 대부분의 광랜 서비스 속도가 100Mbps라 그런겁니다.

굳이 비유하자면.. 내 차는 최대 430km/h를 달릴 수 있는 부가티 베이론인데

고속도로를 같이 달리는 모든 차들의 최대 속도는 150km/h이면 

430km/h의 속도를 못 내고, 같이 150km/h의 속도를 내야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대신 내부망이 300Mbps 이상인 기가비트로 구성되어 있다면

내부 전송속도는 300Mbps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haeod.tistory.com/274

'Work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사별 DNS 서버 정리  (0) 2017.04.21
서버호스팅 트래픽 계산  (0) 2016.11.08
랜선 만들기 (Direct & Cross Cable)  (0) 2016.07.07


--------------------------------------------------------
ISP,초고속인터넷

한국통신 (코넷,메가패스) : kornet.net, megapass.co.kr
168.126.63.1 [kns.kornet.net]
168.126.63.2 [kns2.kornet.net]
210.104.1.3 [ns.pubnet.ne.kr]
210.204.251.22 [atm2.pubnet.ne.kr]
211.216.50.150 [ns.kornet.net] **
211.216.50.160 [ns2.kornet.net] **


데이콤 (보라넷,천리안,엑스피드) : dacom.co.kr, bora.net, chollian.net, chol.com, xpeed
164.124.101.2 [ns.dacom.co.kr,ns.bora.net]
164.124.101.31 [nis.dacom.co.kr] **
203.248.240.31 [ns2.bora.net] **


파워콤 (엑스피드) : xpeed
164.124.107.9 [cns2.bora.net]
203.248.252.2 [cns3.bora.net]


하나로텔레콤 : hananet.net
210.220.163.82 [qns1.hananet.net]
219.250.36.130 [qns2.hananet.net]
210.94.6.67 [qns3.hananet.net] ***
210.94.0.73 [cns1.hananet.net]
221.139.13.130 [cns2.hananet.net]
210.180.98.74 [cns3.hananet.net]
210.94.0.7 [fns1.hananet.net] ***
210.180.98.69 [fns2.hananet.net] ***


신비로샤크 :sshark.co.kr
202.30.143.11 [ns.shinbiro.com]
203.240.193.11 [ns2.shinbiro.com]
203.251.201.1 [ns3.shinbiro.com]
208.38.61.228 [qns.shibiro.com] **
208.38.61.228 [cns.shibiro.com] **


드림라인 : dreamline.co.kr
210.181.1.24 [ns.cjdream.net]
210.181.4.25 [ns2.cjdream.net]


엘림넷 : elim.net
203.239.130.1 [ns.elim.net]
203.239.131.1 [ns2.elim.net]


엔터프라이즈네트웍스 : epidc.co.kr
211.115.194.6 [ns.epidc.co.kr] **
211.115.194.2 [ns2.epidc.co.kr] **
211.115.194.3 [ns3.epidc.co.kr] **


삼성네트웍스 : samsungnetworks.co.kr

KRLINE : krline.net
211.47.128.1 [ns1.krline.net]
211.47.128.2 [ns2.krline.net]
211.47.128.146 [ns3.krline.net] ****

--------------------------------------------------------
IDC

KT IDC (한국통신 데이터센터) : kt-icc.com
211.63.213.176 [ns.kt-idc.com] **
61.78.38.120 [ns2.kt-idc.com] **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 (LG데이콤) : kidc.net
203.248.250.24 [ns1.kidc.net] **
203.248.250.25 [ns2.kidc.net] **
164.124.101.31 [ns1.lgdacom.net] **
203.248.240.31 [ns2.lgdacom.net] **
211.234.98.50 [cns.kidc.net]


하나로통신 인터넷데이터센터 : ngene.net
211.58.252.62 [ns.ngene.net] **
211.58.252.94 [ns2.ngene.net] **
58.227.193.227 [qns1.ngene.net]
221.143.20.131 [qns2.ngene.net]
218.232.110.35 [cns1.ngene.net]
218.232.110.36 [cns2.ngene.net]
218.232.110.37 [cns3.ngene.net]
221.143.20.133 [cns4.ngene.net]
221.143.20.134 [cns5.ngene.net] ****
221.143.20.135 [cns6.ngene.net]



--------------------------------------------------------
호스팅

하나로 호스팅 : hhosting.co.kr
218.237.66.130 [ns1.hhosting.co.kr]
218.237.66.140 [ns2.hhosting.co.kr]


인터넷제국 : inempire.com
210.124.122.35 [ren1.inempire.com]
211.53.209.135 [ren2.inempire.com]


--------------------------------------------------------
** : Local Query 불가 (일반 PC 에서 DNS 서버로 사용불가)
*** : 해당라인 사용시만 Local Query 가능 (타사 라인 사용시 사용불가)


'Work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Mbps, MB/s로 변환 방법 및 변환한 속도  (0) 2018.04.25
서버호스팅 트래픽 계산  (0) 2016.11.08
랜선 만들기 (Direct & Cross Cable)  (0) 2016.07.07


 

서버호스팅 트래픽을 보면 3메가, 5메가, 10메가 등이 있습니다.
이는 초당 접속속도를 이야기 하며 단위는 bps (bit per second) 입니다.
이를 일반 웹호스팅에 빗대어 (예를들어 하루 전송량 1기가) 이야기 하면
계산하는 방법이 아래와 같습니다.

<3Mbps>

3Mbps
= 3*1024*1024 bit
= 3,145,728 bit
bit 를 byte 로 전환하면 (byte 는 bit 가 8개 모인 단위입니다.)
3Mbps / 8
= 3,145,728 / 8
= 393,216 byte
즉 초당 데이터 전송할 수 있는 양이 384 Kbyte 가 됩니다.
이를 하루 단위 트래픽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93,216 byte * 86,400 초 (하루 60*60*24)
= 33,973,862,400 byte
= 약 32 Gbyte
즉 하루 트래픽은 32기가 정도 되는 것이며 이를 한달로 계산하면 약 950 Gbyte 입니다.

<5Mbps>
초당 : 640 Kbyte
하루 : 약 52 Gbyte
한달 : 약 1,582 Gbyte 

<10Mbps>
초당 : 1.25 Mbyte
하루 : 약 105 Gbyte
한달 : 약 3,164 Gbyte
 
이는 단순 계산한 것이고 실제 운영시에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Work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Mbps, MB/s로 변환 방법 및 변환한 속도  (0) 2018.04.25
통신사별 DNS 서버 정리  (0) 2017.04.21
랜선 만들기 (Direct & Cross Cable)  (0) 2016.07.07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용 랜선은 다이렉트케이블 형태로 조립하면 되겠고
크로스 케이블은 약간 색 배열이 다른데 혼동없이 구분하도록 하자.

준비물 : 랜툴(필수), RJ-45 캡(필수), UTP Cable Cat.5e(필수), 피복벗기는도구(옵션), 랜테스터기(옵션)

'Work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Mbps, MB/s로 변환 방법 및 변환한 속도  (0) 2018.04.25
통신사별 DNS 서버 정리  (0) 2017.04.21
서버호스팅 트래픽 계산  (0) 2016.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