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시스템로그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문제 없는, Info성 메시지이다. 하지만 이 부분이 거슬릴 경우 해당 메시지가 쌓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1. 아래 커맨드 입력을 통해 해당 로그가 쌓이지 않도록 설정해주자.

echo 'if $programname == "systemd" and ($msg contains "Starting Session" or $msg contains "Started Session" or $msg contains "Created slice" or $msg contains "Starting user-" or $msg contains "Starting User Slice of" or $msg contains "Removed session" or $msg contains "Removed slice User Slice of" or $msg contains "Stopping User Slice of") then stop' >> /etc/rsyslog.d/ignore-systemd-session-slice.conf

 ( 한줄이다. )

 

2. 설정파일 적용을 위해 rsyslog 재시작을 해주자.

systemctl restart rsyslog

 

출처 : https://growingsaja.tistory.com/217

RockyLinux8 이상에서 부팅시 생성되는 /var/log/dmesg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 방법을 수행하면 된다.

1) vi /etc/systemd/system/dmesg.service 파일에 아래 내용 추가  (해당 파일은 없으니 만들어야 함)

 [Unit]
 Description=Create /var/log/dmesg on boot
 ConditionPathExists=/var/log/dmesg

 [Service]
 ExecStart=/usr/bin/dmesg
 StandardOutput=file:/var/log/dmesg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2) /var/log/dmesg 파일 생성 및 SeLinux 컨텍스트 확인 (Selinux가 비활성화 상태면 dmesg파일만 만들면 된다.)

 # touch /var/log/dmesg
 # restorecon -v /var/log/dmesg (selinux 비활성화면 이 라인은 스킵)

3) 부팅 시 서비스가 시작되도록 활성화

 # systemctl enable dmesg

4) 시스템 재시작 (재부팅 후 /var/log/dmesg 파일 생성 및 파일 내용 확인 할 것)

 #shutdown -r now 또는

#systemctl start dmesg.service (재부팅 없이 즉시 시작도 가능)
#systemctl status dmesg.service (데몬 기동이 이상이 없는지 체크)

 

참조 : https://www.getpagespeed.com/solutions/the-var-log-dmesg-file-is-not-created-during-boot-for-rocky-linux-8

HTTP 응답 코드 종류

 응답 코드 설명 
100   Continue (클라이언트로 부터 일부 요청을 받았으며 나머지 정보를 계속 요청함)
 101  Switching protocols
 200  OK(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
 201  Created (PUT 메소드에 의해 원격지 서버에 파일 생성됨)
 202  Accepted(웹 서버가 명령 수신함)
 203  Non-authoritative information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 중 일부만 전송)
 204  No content, (사용자 요구 처리하였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301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타 URL에 요청함)
 302  Not temporarily
 304  Not modified (컴퓨터 로컬의 캐시 정보를 이용함, 대개 gif 등은 웹 서버에 요청하지 않음)
 400  Bad request (사용자의 잘못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한 페이지를 요청한 경우)
 402  Payment required(예약됨)
 403  Forbidden (접근 금지, 디렉터리 리스팅 요청 및 관리자 페이지 접근 등을 차단)
 404  Not found, (요청한 페이지 없음)
 405  Method not allowed (혀용되지 않는 http method 사용함)
 407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프락시 인증 요구됨)
 408  Request timeout (요청 시간 초과)
 410  Gone (영구적으로 사용 금지)
 412  Precondition failed (전체 조건 실패)
 414  Request-URI too long (요청 URL 길이가 긴 경우임)
 500  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오류)
 501  Not implemented (웹 서버가 처리할 수 없음)
 503  Service unnailable (서비스 제공 불가)
 504  Gateway timeout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
 505  HTTP version not supported (해당 http 버전 지원되지 않음)

 

 

HTTP 메소드 종류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GET GET [request-uri]?query_string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GET 요청 방식은 URI(URL)가 가진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서버 측에 요청하는형태이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POST POST [request-uri]?query_string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Content-Lenght:[Lenght in Bytes] \r\n 
\r\n
[query-string] 혹은 [데이터]
POST 요청 방식은 요청 URI(URL)에
폼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한 서버 측 스크립트
(ASP, PHP, JSP 등) 혹은 CGI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Form Action과 함께 전송되는데,
이때 헤더 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데이터 부분에 요청 정보가 들어가게 된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HEAD HEAD [request-u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HEAD 요청 방식은 GET과 유사한 방식이나 웹 서버에서 헤더 정보 이외에는 어떤 데이터도 보내지 않는다.
웹 서버의 다운 여부 점검(Health Check)이나 웹 서버 정보(버전 등)등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OPTIONS OPTIONS [request-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해당 메소드를 통해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메소드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PUT PUT [request-u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Content-Lenght:[Length in Bytes] \r\n
Content-Type:[Content Type] \r\n
\r\n
[데이터] 
 POST와 유사한 전송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헤더 이외에 메시지(데이터)가 함께 전송된다.
원격지 서버에 지정한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며 홈페이지 변조에 많이 악용되고 있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DELETE DELETE [request-u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r\n 
 원격지 웹 서버에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PUT과는 반대 개념의 메소드이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TRACE TRACE [request-u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r\n 
원격지 서버에 Loopback(루프백) 메시지를 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HTTP Method 전송 형태  설명 
 CONNECT CONNECT [request-uri] HTTP/1.1\r\n
Host:[Hostname] 혹은 [IP] \r\n
\r\n 
 웹 서버에 프락시 기능을 요청할 때 사용된다.


출처 : https://gyrfalcon.tistory.com/m/entry/HTTP-%EC%9D%91%EB%8B%B5-%EC%BD%94%EB%93%9C-%EC%A2%85%EB%A5%98-HTTP-%EB%A9%94%EC%86%8C%EB%93%9C-%EC%A2%85%EB%A5%98

Apache 2.4.x 서버에서 mod_cband  (트래픽 사용량 제어 모듈) 설치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 SUN(11.123) , /usr/local/src/mod-cband-0.9.7.5 ] > make

/usr/local/apache/bin/apxs -Wc,-Wall -Wc,-DDST_CLASS=3 -c src/mod_cband.c
/usr/local/apr/build-1/libtool –silent –mode=compile gcc -std=gnu99 -prefer-pic -DLINUX -D_REENTRANT -D_GNU_SOURCE -g -O2 -pthread -I/usr/local/apache/include -I/usr/local/apr/include/apr-1 -I/usr/local/apr-util/include/apr-1 -Wall -DDST_CLASS=3 -c -o src/mod_cband.lo src/mod_cband.c && touch src/mod_cband.slo
src/mod_cband.c: In function ‘mod_cband_create_traffic_size’:
src/mod_cband.c:1054: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4: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8: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8: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 In function ‘mod_cband_get_dst’:
src/mod_cband.c:1333: error: ‘conn_rec’ has no member named ‘remote_ip’
src/mod_cband.c: In function ‘mod_cband_get_remote_host’:
src/mod_cband.c:1362: error: ‘struct conn_rec’ has no member named ‘remote_ip’
src/mod_cband.c:1363: error: ‘struct conn_rec’ has no member named ‘remote_ip’
src/mod_cband.c:1365: error: ‘struct conn_rec’ has no member named ‘remote_addr’
apxs:Error: Command failed with rc=65536
.
make: *** [src/.libs/mod_cband.so] 오류 1

mod_cband.c 파일을 편집합니다.

vi /usr/local/src/mod-cband-0.9.7.5/src/mod_cband.c

이때, src/.libs/mod_cband.c 라는 파일이 존재 않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빨간색은 수정 이전 라인, 파란색은 수정 이후 라인입니다.

1333번 라인
p.add.sin.s_addr = inet_addr(r->connection->remote_ip);
p.add.sin.s_addr = inet_addr(r->connection->client_ip);

1342번 라인
   fprintf(stderr,”%s leaf %s\n”,r->connection->remote_ip,leaf);
   fprintf(stderr,”%s leaf %s\n”,r->connection->client_ip,leaf);

1362~1365번 라인
if (c->remote_ip != NULL)
addr = inet_addr(c->client_ip);
else
addr = c->remote_addr->sa.sin.sin_addr.s_addr;

if (c->client_ip != NULL)
addr = inet_addr(c->client_ip);
else
addr = c->client_addr->sa.sin.sin_addr.s_addr;

위와 같이 수정한 다음 make 명령을 내리면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진행됩니다.

/usr/local/apache/bin/apxs -Wc,-Wall -Wc,-DDST_CLASS=3 -c src/mod_cband.c
/usr/local/apr/build-1/libtool –silent –mode=compile gcc -std=gnu99 -prefer-pic -DLINUX -D_REENTRANT -D_GNU_SOURCE -g -O2 -pthread -I/usr/local/apache/include -I/usr/local/apr/include/apr-1 -I/usr/local/apr-util/include/apr-1 -Wall -DDST_CLASS=3 -c -o src/mod_cband.lo src/mod_cband.c && touch src/mod_cband.slo
src/mod_cband.c: In function ‘mod_cband_create_traffic_size’:
src/mod_cband.c:1054: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4: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8: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src/mod_cband.c:1058: warning: comparison with string literal results in unspecified behavior
/usr/local/apr/build-1/libtool –silent –mode=link gcc -std=gnu99 -o src/mod_cband.la -rpath /usr/local/apache/modules -module -avoid-version src/mod_cband.lo

write “make install” to install module

 

make install

/usr/local/apache/bin/apxs -Wc,-Wall -Wc,-DDST_CLASS=3 -i -a -n cband src/mod_cband.la
/usr/local/apache/build/instdso.sh SH_LIBTOOL=’/usr/local/apr/build-1/libtool’ src/mod_cband.la /usr/local/apache/modules
/usr/local/apr/build-1/libtool –mode=install install src/mod_cband.la /usr/local/apache/modules/
libtool: install: install src/.libs/mod_cband.so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so
libtool: install: install src/.libs/mod_cband.lai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la
libtool: install: install src/.libs/mod_cband.a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a
libtool: install: chmod 644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a
libtool: install: ranlib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a
libtool: finish: PATH=”/usr/lib64/qt-3.3/bin:/usr/local/sbin:/usr/local/bin:/sbin:/bin:/usr/sbin:/usr/bin:/usr/local/java/bin:/root/bin:/sbin” ldconfig -n /usr/local/apache/modules
———————————————————————-
Libraries have been installed in:
/usr/local/apache/modules

If you ever happen to want to link against installed libraries
in a given directory, LIBDIR, you must either use libtool, and
specify the full pathname of the library, or use the `-LLIBDIR’
flag during linking and do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 add LIBDIR to the `LD_LIBRARY_PATH’ environment variable
during execution
– add LIBDIR to the `LD_RUN_PATH’ environment variable
during linking
– use the `-Wl,-rpath -Wl,LIBDIR’ linker flag
– have your system administrator add LIBDIR to `/etc/ld.so.conf’

See any operating system documentation about shared libraries for
more information, such as the ld(1) and ld.so(8) manual pages.
———————————————————————-
chmod 755 /usr/local/apache/modules/mod_cband.so
[activating module `cband’ in /usr/local/apache/conf/httpd.conf]

출처 : http://idchowto.com/tip-apache-2-4-x-%EC%84%9C%EB%B2%84%EC%97%90%EC%84%9C-mod_cband-%EC%84%A4%EC%B9%98%EC%8B%9C-%EC%98%A4%EB%A5%98-%EB%A9%94%EC%84%B8%EC%A7%80-%EC%B2%98%EB%A6%AC%EB%B0%A9%EB%B2%95/

 

텍스트편집기나 Sublime Text, Xcode 등의 문서편집기를 사용할 때, 커서의 이동이나 텍스트의 선택은 어떻게 하시나요?
보통은 마우스를 사용해서 원하는 위치를 클릭하거나 원하는 블럭를 선택합니다.
하지만 키보드로 작업을 하고 있다가 마우스에 손을 갖다 대는 작업은 매우 번거러운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특히, 프로그램을 하는 등의 고도의 집중을 하고 있을 때는 더욱 더 불편하게 느껴집니다.

이렇게 커서를 이동하거나 블럭을 선택하는 작업을 단축키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커서 이동 단축키


  • 라인의 맨 앞으로 가기: Cmd + ←
  • 라인의 맨 뒤로 가기: cmd + →
  • 현재 단어의 시작으로 가기: option + ←
  • 현재 단어의 끝으로 가기: option + →
  • 모든 텍스트의 맨 앞으로 가기: command + ↑
  • 모든 텍스트의 맨 뒤로 가기: command + ↓

 

블럭 선택 단축키


이제 커서를 이동하기 전에 shift 키를 누른 후 이동하면 이동 한 부분의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위치부터 라인의 맨 앞까지의 텍스트 선택: shift + comand + ←
  • 현재 위치부터 라인의 맨 뒤까지의 텍스트 선택: shift + command + →
  • 현재 위치부터 현재 단어의 시작 까지의 텍스트 선택: shift + option + ←
  • 현재 위치부터 현재 단어의 끝 까지의 텍스트 선택: shift + option + →
  • 현재 위치부터 모든 텍스트의 맨 앞까지 선택: shift + command + ↑
  • 현재 위치부터 모든 텍스트의 맨 뛰까지 선택: shift + command + ↓
  • 현재 위치부터 위쪽의 원하는 라인까지 선택하기: shift + ↑
  • 현재 위치부터 아래쪽의 원하는 라인까지 선택하기: shift + ↓

 

 

 

또한, 이러한 커서 이동및 블럭 선택 단축키는 문서편집기 뿐만 아니라
Safari의 주소창 등과같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OS X용 앱에서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이제부터는 문서 편집용 단축기를 자주 사용해 보세요…
맥이 더욱 쉽게 느껴집니다. ^^

출처: https://macworld.hjsong.net/103 [맥의 세상에 빠지다™:티스토리]

 

dpkg 명령어

기본 설명

dpkg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로서,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dpkg 자체는 APT 등과 같은 고급 도구에 비해 낮은 레벨의 도구이며 복잡한 패키지 관계와 패키지를 원격에서 받아오는 등의 일을 합니다. APT도 Ubuntu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이 dpkg를 사용합니다.

 

사용 방법

dpkg -l

: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레드햇 계열 : rpm -qa 와 동일)

 

dpkg -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로부터 설치된 모든 파일목록 확인 (레드햇 계열 : rpm -ql 과 동일)

 

dpkg -C <.deb 파일>

: 해당 .deb 파일이 설치한 파일의 목록 확인

 

dpkg -s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에 대한 정보 확인

 

dpkg -I <.deb 파일>

: 해당 .deb 파일에 대한 정보 확인

 

dpkg -S <파일명>

: 해당 파일명 또는 경로가 포함된 패키지들을 검색 (레드햇 계열 : rpm -qf 와 동일)

 

sudo dpkg -i <.deb 파일>

: 해당 파일 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sudo dpkg -r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삭제 (삭제시 설정파일들은 남겨둡니다.)

 

sudo dpkg -P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와 해당 패키지의 설정파일을 모두 삭제 (레드햇 계열 : rpm -e 와 동일)

 

sudo dpkg -x <.deb 파일> <디렉토리>

: 파일에 포함되어있는 파일들을 지정된 디렉토리에 압축 해제 (※ 이 명령을 실행할 경우, 해당 디렉토리를 초기화 시켜버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사이트

http://www.songtory.com/post/001003/1/245

 

http://snowdeer.github.io/linux/2018/02/03/ubuntu-16p04-manage-packages/

 

출처 : https://miiingo.tistory.com/183

'Work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 apt remove vs purge 차이  (0) 2022.08.29

 

운영체제 : Ubuntu 18.04

DESCRIPTION

apt-get is the command-line tool for handling packages, and may be considered the user's "back-end" to other tools using the APT library. Several "front-end" interfaces exist, such as aptitude(8)synaptic(8) and wajig(1).

 

Unless the -h, or --help option is given, one of the commands below must be present.

remove

remove is identical to install except that packages are removed instead of installed. Note that removing a package leaves its configuration files on the system. If a plus sign is appended to the package name (with no intervening space), the identified package will be installed instead of removed.

purge

purge is identical to remove except that packages are removed and purged (any configuration files are deleted too).

 

OPTIONS

--purge

Use purge instead of remove for anything that would be removed. An asterisk ("*") will be displayed next to packages which are scheduled to be purged. remove --purge is equivalent to the purge command. Configuration Item: APT::Get::Purge.
 
--auto-remove--autoremove
If the command is either install or remove, then this option acts like running the autoremove command, removing unused dependency packages. Configuration Item: APT::Get::AutomaticRemove.
 

apt 패키지 매니저에서 패키지 삭제 명령어 정리

 

패키지 삭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새롭게 설치하는 패키지에 문제가 생겨 명령어와 옵션에 대해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pt remove <패키지명>

패키지를 삭제한다. 하지만 설정파일은 남겨둔다.

$ apt purge <패키지명>

패키지를 삭제한다. 설정파일도 함께 삭제한다.

 

옵션

$ apt [any command] --purge <패키지명>

remove 대신 --purge 명령을 수행한다. remove --purge 는 purge 명령어와 같다,

$ apt remove --auto-remove <패키지명>

사용하지않는 관련된 패키지를 모두 삭제한다.


위는 공식 명령어 가이드와 간략한 해석입니다.

차이는 설정파일을 삭제하느냐 남겨 두느냐의 차이입니다.

 

하지만 purge명령어를 쓰더라도 모든 설정파일을 삭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user'home 파일은 삭제하지 않습니다.

 

예를들면, /home 폴더 하위에 설정파일을 가지고 있는 어느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크롬 , 파이어폭스 등등..)을 삭제할 때는 /home 디렉터리 내부의 설정파일들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처음에 remove와 remove --auto-remove <패키지명>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삭제했는데, 새롭게 설치하는 패키지가 삭제한 패키지와 중첩이 되어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VMware-Tools를 설치하는데 vm-open-tools가 기본적으로 Ubuntu18.04에 설치되어 있어서 먼저 vm-open-tools를 삭제하고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remove, --auto-remove 를 사용해 패키지를 지우고

VMware-Tools를 설치하려고하니 이미 open-vm-tools가 설치되어 있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 --purge 옵션을 이용해서 삭제하라는 가이드가 있었습니다.

 

# apt purge open-vm-tools를 이용해 삭제하고 VMware-Tools를 삭제하니 정상적으로 설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출처: https://gintrie.tistory.com/23 [gintire:티스토리]

'Work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dpkg 명령어 사용법  (0) 2022.08.29

 

[신한카드] RPM Platinum# 카드 신형 쓸만 한가요? (구형과 비교 분석)

필자는 구형 RPM Platinum# 카드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카드 체리피커들이 소장하고 애용하는 카드입니다.)
** 카드 체리피커 (card cheery picker) ; 체리픽커란 맛난 체리만 따먹는 약삭빠른 사람을 말합니다.

이런 좋은 카드가 단종되고, 버전 업된 신형 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 신형카드를 분석하면, 왜 구형카드가 폐지 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카드사에서 고객의 생각해서 더 좋은 혜택을 주려고, 신형카드를 개발한건 절대! 절대! 아니겠죠? ^^

1. 연회비 분석
   구형 ; URS 2만 7천원, VISA 3만원, AMEX 3만원
   신형 ; UPI 3만 2천원, VISA 3만 5천원

   ==> 신형이 5천원 인상되었습니다.

 

 

2. 주유 할인
   구형 ; (무실적) 모든 주유소 리터당 100원 적립 / 모든 LPG 충전소 리터당 30원 적립
   신형 ; (실적차등)모든 주유소에서 리터당 40~150포인트 적립 / 충전소 리터당 10~50포인트 적립

   ==> 무실적 vs. 실적차등
   ==> 신형카드로 100만원 이상 실적일때, 구형카드와 동일 / 신형으로 200만원 이상실적일때, 150 P 적립
   ==> 월 주유 한도 30만원은 동일 (구형은 회수로 4회 제한 있습니다. 신형은 횟수 제한이 없다 보니, 경차/중소형차 소유자는 좀더 유리하겠습니다.  (구형카드는 매회 7만원 이상 주유해야 4x7 = 28만원으로 30만원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항상 가득주유 해야만 했습니다. 적당히 주유해야 차도 가볍고 연비도 좋아지는데 말입니다. 가득주유는 필자의 불만이었는데 신한카드에서 신형 RPM에는 방식을 변경해 줘서 고맙네요.)

 

3. 적립상세
   구형 ; 실적 150만원 이상이면, 모든 혜택을 다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신형 ; 실적 200만원 이상되야, 모든 혜택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 150만원 최고실적 vs. 200만원 최고 실적
   ==> 신형카드로는 월50만원을 추가로 사용해야 최고 등급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겠네요.

 

4. 기타
   ==> RPM 카드의 또다른 꿀핵은 몇몇 주차장의 무료이용입니다. 이부분은 신형/구형 동일한 혜택이 제공됩니다.
   ==> 그밖에 구형/신형 다른점이 소소하게 있으나, 위에 언급한 부분이 필자에겐 카드선택의 중요 포인트이므로 소소한 차이는 이글에서 생략했습니다.

 

결론들어 갑니다.
1. 구형의 장점 ; 신형보다 저렴한 연회비, 무실적 주유혜택 (100원 할인)
2. 신형의 장점 ; 주유시 회수제한 없이 30만원 까지 혜택

3. 그래서 신형을 쓸 예정입니까?
   ==> NO ! 
4. 신형의 불편한 점은 무엇인가요?
   ==> 까다로운 실적 조건 입니다. 단일카드(원카드)로 사용할 경우는 머리를 잘 굴려 써볼 만 하지만, 신한포인트 제한이 5만점이라 주유혜택 모두 받고, 월 200만원 이상 사용한다면, 혜택을 못 받는 금액이 생길듯 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기존 hi point 계열 신한카드의 실적 최고 금액은 150만원 이였고, 이때, 5만점을 적립하려면, 200~250만원을 사용 해야 했습니다. 이때, RPM 카드는 큰 주유적립 혜택을 주기 때문에 150만원 정도 사용하면, 5만점을 모두 채우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2013.tistory.com/73

기호 영어 한글
` Backtick(백틱), Grave(그레이브) -
~ Tilde(틸트) 물결표시
! Exclamation mark(엑스클러메이션) 느낌표
? Question mark(퀘스쳔) 물음표
@ At sign(앳) 골뱅이
# Sharp(샵), Number sign(넘버) 우물정
$ Dollar sign(달러) -
% Percent sign(퍼센트) -
^ Caret(캐럿) -
& Ampersand(엠퍼센드) -
* Asterisk(에스터리스크) 별표
- Hyphen(하이픈), Dash(대시), Minus(마이너스) -
_ Underscore(언더스코어), Low dash(로대시) 밑줄
= Equals sign(이퀄) 동등
' Apostrophe(아포스트로피) 작은 따옴표
: Colon(콜론) -
; Semicolon(세미콜론) -
, Comma(콤마) 쉼표
. Period(피리어드), Dot(닷) 점, 마침표
/ Slash(슬래시) -
| Vertical bar(버티컬바) -
\ BackSlash(백슬래시) -
() Parenthesis(퍼렌서시스) 소괄호, 괄호
{} Brace(브레이스) 중괄호
[] Bracket(브래킷) 대괄호
<> Angel Bracket(앵글 브래킷) 꺽쇠괄호

출처 : https://velog.io/@eassi/%ED%8A%B9%EC%88%98-%EB%AC%B8%EC%9E%90-%EC%9A%A9%EC%96%B4-%EC%A0%95%EB%A6%AC

sudo dscacheutil -flushcache;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