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하나에 두개의 도메인을 각각의 서브폴더에 연결시키는 방법은

제가 알기로, (틀릴수도있음)
1. 루트의 메인페이지에 메타정보세팅을 하여 접속즉시 자동(순간이동?)으로 특정 폴더로 이동 시키는 방법
2. 루트의 메인페이지에 php코드를 삽입하여, if~, else등으로 url에 따라서 특정 폴더로 이동시켜주는 방법
이 있는데요,

위 두가지 방법은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오는데,
.htaccess 파일을 세팅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잘 없기에, 간단한 예를 소개해 올립니다..

예) 이해를 쉽게하기위해, 제로보드xe와 텍스트큐브(테터툴즈블로그)를 동시에 설치하고,
각각의 도메인으로 접속하는것을 예로 했습니다..

aaaa.com --------------> /zbxe/ 폴더로 접근 (제로보드xe가 뜨겠죠)
bbbb.co.kr --------------> /tc/ 폴더로 접근 ( 텍스트큐브가 뜨겠죠)

계정의 루트( / )에 .htaccess 파일을 아래의 노란부분과 같이 만들어서 올려주시면 됩니다.
도메인별, 폴더별로 빨강글씨부분이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주의 1) 제로보드xe, 텍스트큐브등을 설치하면 .htaccess 파일이 생기는데, 그 파일들과 혼동하지마세요,
그 파일들은 설치후 각각 zbxe, tc 폴더내에 있는 것이고, 지금 만들어서 올리는건 루트( / )에 있어야 할 파일
입니다.)

주의 2) .htaccess 의 제어는 호스팅계정마다 지원할 수도, 안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까페스물넷계정인데, 잘 적용하여
쓰고있고, 말많은 파랑호스팅에서도 되는거 확인했습니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1 !^(zbxe)/
RewriteCond %{HTTP_HOST} ^aaaa\.com [NC]
RewriteRule ^(.*)$ /zbxe/$1 [L]

RewriteCond $1 !^(tc)/
RewriteCond %{HTTP_HOST} ^bbbb\.co\.kr [NC]
RewriteRule ^(.*)$ /tc/$1 [L]

 

위와 같이 만들어 올려주시면 되고요,
자세한 설명은 없습니다.(^^) 제가 초보라서..

 

위는 메인 도메인 2개가 다를 경우 각각 정해진 위치에 링크하는 방법이고

각각의 메인 도메인에 서브 도메인이 추가 존재할 경우 아래 예시 처럼 하면 됩니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1 !^(dir01\/dir01-1)/
RewriteCond %{HTTP_HOST} ^go\.aaaa\.com [NC]
RewriteRule ^(.*)$ /dir01\/dir01-1/$1 [L]

RewriteCond $1 !^(dir02\/dir02-2)/
RewriteCond %{HTTP_HOST} ^to\.bbbb\.co\.kr [NC]
RewriteRule ^(.*)$ /dir02\/dir02-2/$1 [L]

 

참고하실 사이트는

http://www.htaccesseditor.com/kr  원하는 기능을 .htaccess 파일로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사이트(그런데, 별기능없음)

http://httpd.apache.org/docs/2.0/misc/rewriteguide.html  아파치 URL Rewriting Guide (한글)

등이 있겠네요.. 도움되시는 분 있다면 좋겠습니다..

PS.. 참, 저렇게 하면, 첫페이지의 상단 url이 짧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http://aaaa.com/zbxe 가 아닌, http://aaaa.com 으로 되겠죠.. 아래의 필요없는 세줄을 지우고 쓰시면 되겠네요


www를 붙여서 사용하려면 www\.aaaa\.co\.kr 처럼


<?php
// File and rotation
$filename = 'IMG_9801.jpg';                         // $filename 은 테스트 환경에 맞는 다른 파일로 대체하여 사용
$degrees = 180;

// Content type
header('Content-type: image/jpeg');

// Load
$source = imagecreatefromjpeg($filename);

// Rotate
$rotate = imagerotate($source, $degrees, 0);

// Output
imagejpeg($rotate);

// Free the memory
imagedestroy($source);
imagedestroy($rotate);
?>


 

/bin/rm: Argument list too long

파일수가 많은 경우를 삭제하려고 시도할 때 나타나는 메세지이다.
rm 명령어에서 getopt function의 아규먼트 파싱하는데에 최대 수치를 넘어선 것으로 기본적으로 1024개 이상을 핸들링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처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쓸 수 있다.

1. find . -name '파일타입' | xargs rm 또는 find . -name '파일타입' -exec rm -rf {};

2. find . -name '*' -exec rm {} \;


예시) /var/spool/mqueue 디렉토리 하위의 파일들이 삭제되지 않을 경우
find ./q*/ -print | xargs rm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sysconfdir=/etc --with-charset=euckr --with-extra-charsets=complex --with-mysqld-user=mysql --with-client-ldflags=-all-static --with-mysqld-ldflags=-all-static
make
make install

[컴파일 옵션 설명]

--prefix=/usr/local/mysql : 컴파일후 관련된 파일들이 설치되는 디렉토리,기본값 : /usr/local 

 --exec-prefix = EPREFIX : 기본값은  --prefix에서 지정한 값과 동일.

 --bin-dir = DIR : 클라이언트 실핼파일과 스크립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기본값은 PREFIX/bin

 --libexec=DIR : mysql 데몬, 기본값은 PREFIX/libexec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 : 사용자의 데이터와 로그파일를 저장할 디렉토리 지정, 기본값은 PREFIX/var

 --with-charset=utf8 : utf8로 charset 지정. utf-8로 하면 에러.

 --with-extra-charsets=all : 추가 charset 지정, none,complex,all 또는 charset 리스트

 --with-unix-socket-path=/tmp/mysql.sock : 소켓디렉토리 , 기본값은 /tmp 또는 /var/run

 --with-tcp-port=3306 : 포트 지정. 기본값은 3306

 --with-mysqld-user=mysql : 데몬실행 계정 지정

 --with-debug : debug code추가 , 사용안하는 경우 without 옵션으로

 --without-readline : 콘솔에서 한글 입력가능

 --enable-thread-safe-client : 쓰레드 지원

 --without-server : 서버 기능 없이 클라이언트로만 사용하고자 할 때 즉 클라이언트로만 사용할 때

 --enable-assembler : 어셈블러  함수 지원

 --with-client-ldflags=-all-static : 클라이언트 실행 파일 생성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도록 지정, 정적으로 컴파일

 --with-mysqld-ldflags=-all-static : 데몬실행파일 생성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도록 지정,정적으로 컴파일

 --sysconfdir=/etc : 설정파일 디렉토리지정

 --with-mit-threads : 강제로 MIT-pthreads 를 실행하고자 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