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v -f utf-8 -t euc-kr convert.dat (저장안되고 화면만출력)
iconv -f utf-8 -t euc-kr convert.dat > convert2.dat



[iconv 사용법]

iconv -f <소스 포맷> -t <목적 포맷> <파일명>

예)
- cp949 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utf8 로 변환
iconv -f cp949 -t utf-8 source.txt > target.txt

지원하는 인코딩 목록을 보려면 -l 옵션을 넣는다.
iconv -l


dovecot은 POP3, IMAP등 메일을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 데몬입니다.

해당 데몬을 세팅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며 메일을 받을 수 없는 문제를 만났습니다.
[code]Feb  8 19:26:56 Tomeii dovecot: Dovecot v1.0.7 starting up
Feb  8 19:27:01 Tomeii dovecot: chdir(/home/users/eye) failed with uid 123: Permission denied
Feb  8 19:27:01 Tomeii dovecot: child 4170 (pop3) returned error 89[/code]
보안상 디렉토리 퍼미션을 많이 바꾸던것이 문제가 된것 같습니다.

* 위 로그가 발생하면 아웃룩등 메일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로그인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사용자 디렉토리의 모든 상위 디렉토리가 최소 711이상의 퍼미션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code]# chmod 711 /home
# chmod 711 /home/users[/code]
와 같이 group과 other에 최소한 1(execute) 권한을 주면 해당 오류가 사라집니다.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어느순간 시스템의 시간이 한국 표준시와 맞지 않은 경우를 발견하게 된다.

이럴 때의 조치방법을 요약한다.

보통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면 시스템 시간과 CMOS 의 시간을

동기화 시키는 것인데 일단 위 명령어는 틀림이 없으나 위 방법을 실행해도 시간이 한국 표준시로 설정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시스템의 타임존이 아시아/서울 (한국 표준시) 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 cp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명령어로 아시아/서울의

타임존을 시스템의 로컬타임으로 설정한다음에

#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명령을 수행해야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덮어씌울거냐고 물어볼땐 무조건 yes 하면 되며

작업 후에는 반드시 date 명령어로 정상적으로 시간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해본다.


(참고)
# date (휴대폰을 꺼내 현재 시간과 날짜가 맞는지 확인)
# hwclock -w (현 시스템 시간을 BIOS 시간과 동기화 시킴.)
# hwclock -r (하드웨어 시간을 표시한다.)
# reboot (재부팅 이후 정상적으로 시간이 맞는지 필히 확인한다.)


파일만 따로 퍼미션 주기.

find ./ -name '*.php'  -exec chmod 604 {} \;
find ./ -name '*.html'  -exec chmod 604 {} \;
find ./ -name '*.css'  -exec chmod 604 {} \;
find ./ -name '*.jpg'  -exec chmod 604 {} \;
find ./ -name '*.gif'  -exec chmod 604 {} \;
find ./ -name '*.png'  -exec chmod 604 {} \;

디렉토리에는 x 권한이 필요하므로

find ./ -type d -exec chmod 755 "{}" \;

디렉토리만 빼고 모든 파일 퍼미션 바꾸기

find ./ -type f -exec chmod 644 "{}" \;

{} 에 따옴표를 한 이유는 파일명에 공백이 있을경우도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Works > CentOS & Rocky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만 삭제  (0) 2016.02.22
iconv 명령어 사용법  (0) 2015.12.04
쉘에서 원격 연결 끊기  (0) 2015.11.24
hdparm 명령 사용법  (0) 2015.11.24
idn 명령어 사용법  (0) 2015.11.24


특정 "로그인 사용자이름"의 접속자를 끊을 때

# skill -KILL [로그인 사용자 이름]

특정 터미널만 접속 해제 할 때

# skill -KILL -v pts/0

: pts/0에 연결된 접속이 끊어지게 됨.

위의 명령어로도 해결이 안되는 경우는 해당 프로세스를 찾아서 강제 종료하거나 재부팅. 

[추가] 위방법은 CentOS 기준 6버전까지는 동작하나 버전 7 이상부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런경우 
ps -ef | grep ssh 명령어를 통해 연결을 끊고자 하는 TTY (pts/0~x) 에 대응되는 pid 를 확인하고
kill -9 "PID" 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해당 접속자만 연결이 끊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