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를 새로깔고 yum으로 package들을 설치할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 하였다

 Could not retrieve mirrorlist 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6&arch=x86_64&repo=os error was
14: PYCURL ERROR 6 - "Couldn'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Error: Cannot find a valid baseurl for repo: base

이경우 resolv.conf 에 nameserver 정보를 작성하지 않아 발생한 error

#] vi /etc/resolv.conf

[추가]

nameserver 168.126.63.1

네임서버 IP를 입력하고 재시도하면 된다.


시스템 일반계정에 접속 해 특정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압축할 때

압축이 끝나면서 tar: Exiting with failure status due to previous errors 가 발생하는 것은

테스트 해보니 압축한 디렉토리 내부에 ssh 에 접속한 UID 이외의 소유자의 파일 및 디렉토리가 존재해 발생하는 것이다.

tar: Exiting with failure status due to previous errors 가 화면에 나타나도 실제 압축파일은 정상적으로 압축되는 것이며

위 메시지가 보기 싫으면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다른 UID로 지정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자신의 권한으로 변경해

달라고 요청한 뒤 다시 압축하면 tar: Exiting with failure status due to previous errors 메시지는 나타나지 않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hdparm은 시스템에 장착된 하드디스크의 설정을 확인하거나 하드디스크의 설정을 하고자 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다. 주로 실무에서는 IDE 또는 SCSI하드디스크의 ACCESS속도를 측정할 때에 많이 사용하며 이 명령어로 하드디스크의 직접적인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지만 극히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설정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하드디스크의 ACCESS속도 및 성능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 사용한다.


1. hdparm명령어로 버퍼링되어 있지않은 데이터의 디스크 ACCESS 속도 체크하기


 # hdparm -t /dev/sda


/dev/sda:

Timing buffered disk reads: 344 MB in  3.01 seconds = 114.28 MB/sec


위의 결과를 보면 현재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SCSI(또는 S-ATA)하드디스크의 경우 실제로 디스크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읽는

속도는 초당 약114MB임을 알 수있다.


2. hdparm명령어로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와 되어있지않는 데이터의 ACCESS 속도 비교하기 


# hdparm -tT /dev/sda


/dev/sda:

Timing cached reads:   3396 MB in  2.00 seconds = 1698.05 MB/sec
Timing buffered disk reads: 342 MB in  3.00 seconds = 113.86 MB/sec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캐쉬(cache)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는다면 실제 속도는 엄청나게 빨라질 것이다. 캐쉬(cache)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다는 것은 실제로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것이 아니라 캐쉬메모리(cache)에서 읽어오기 때문이며 1번의 예는 실제로 디스크에 존재하는 데이터(t옵션)를 읽는 속도를 체크한 것이라면 위의 예는 캐쉬에 존재하는 데이터(T옵션)를 읽는 속도와 함께 측정하는 예입니다.


위의 예에서 보면 캐쉬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T옵션)를 읽을 때에는 초당 약 1698MB를 읽을 수 있으며 실제로 디스크에서 데이터(t옵션)를 읽어오는 속도는 초당 약 113MB임을 알 수 있다.

이 예에서 캐쉬메모리가 시스템의 속도에 얼마나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Work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onv 명령어 사용법  (0) 2015.12.04
파일 (폴더)의 퍼미션 골라 한꺼번에 바꾸기 (find 응용)  (0) 2015.11.24
쉘에서 원격 연결 끊기  (0) 2015.11.24
idn 명령어 사용법  (0) 2015.11.24
/bin/rm: Argument list too long  (0) 2015.11.02
IDN


idn 명령어는 유니코드가 포함된 도메인 (한글도메인)을 ASCII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명령어이며

아래는 설치부터 사용법 예시에 대한 정리이다.

[idn 설치]

yum -y install libidn


[idn 명령사용법]


CHARSET=EUC-KR idn -a --quiet 한글도메인 (한글도메인을 punnycode 로 변환)
CHARSET=EUC-KR idn -u --quiet punnycode (punnycode를 한글도메인을 변환)

ex) CHARSET=EUC-KR idn -a --quiet 네이버.com (xn--950bt9s8xi.com 으로 변환됨)
ex) CHARSET=EUC-KR idn -u --quiet xn--950bt9s8xi.com (네이버.com 으로 변환됨)
 

[중요] CHARSET=EUC-KR 를 명시하지 않으면 서버 로케일 설정이 euc-kr 로 지정되지 않은 서버에서는

엉뚱한 결과값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명령어 사용시 반드시 위 예시와 같이 CHARSET=EUC-KR 를 조합해서 사용할 것.

CHARSET=EUC-KR 옵션사용시 시스템의 로케일 설정의 영향 받지 않음.

'Work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onv 명령어 사용법  (0) 2015.12.04
파일 (폴더)의 퍼미션 골라 한꺼번에 바꾸기 (find 응용)  (0) 2015.11.24
쉘에서 원격 연결 끊기  (0) 2015.11.24
hdparm 명령 사용법  (0) 2015.11.24
/bin/rm: Argument list too long  (0) 2015.11.02



virtualhosts.conf (기본 "httpd-vhosts.conf") 파일의 적용을 원하는 계정을 찾아

아래의 지시자를 추가해준다.

* 파일 업로드 용량 설정

php_value upload_max_filesize 64M
php_value post_max_size 64M 

 

* 64M 는 예시이며 용량을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서버에 설정된 upload_max_filesize & post_max_size 의 설정 값 확인하는 스크립트

<?php
$s1 = 'upload_max_filesize';
$s2 = 'post_max_size';
echo $s1.' : '.ini_get($s1);
echo "<br>";

echo $s2.' : '.ini_get($s2);

?>


* 최대 업로드 갯수 설정

php_admin_value max_file_uploads 100  (php 5.2.12 이후)

서버에 설정된 max_file_uploads 의 설정 값 확인하는 스크립트

<?php
$s = 'max_file_uploads';
echo $s.' : '.ini_get($s);
?>


'Works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myadmin 로그인 인증 방법  (0) 2016.02.26
PHP 언어셋 컨버팅  (0) 2015.12.16
Imagerotate 테스트 소스  (0) 2015.11.09
php 파일 암호화 php_screw-1.5  (0) 2015.10.30
모바일페이지 자동 리다이렉션 스크립트  (0) 2015.10.30